💙 들어가며
Spring Boot에 입문해보자.
모든 설정은 Boot에 맡기고 순수 코드에만 집중하자!
✏️ 학습내용 정리
#Spring Boot 입문
💡 Spring vs Spring Boot
스프링에서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.
단지 설정이 필요하고 라이브러리를 꽂아넣었던 부분을
부트가 대신 해주는 것에 대한 차이이다.
우리가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
쌓았던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.
이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서
모든 설정을 스프링 부트가 담당하게 될 것이다.
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정도로 압축해 볼 수 있겠다.
#STS 설치하기
스프링 부트를 다루기 위해서
Spring Tool Suit를 설치해보자.
(이클립스 버전으로 설치함)
설치된 STS를 열고
Create new Spring Starter Project한다.
Starter 프로젝트 하나로 필요한 dependencies를
다 선택해서 설정할 수 있다.
#내장톰캣(Embedded Tomcat)
이제는 톰캣을 미리 설치해둘 필요도 없다.
스프링부트를 통해서
톰캣의 일부 기능을 라이브러리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.
내장톰캣을 이용하게 되면서
여태까지 톰캣이 가지고 있던 main함수도
다시 가지고 오게 되었고,
코드를 짤 때도 더 이상 서블릿스럽지 않게
일반 자바파일처럼 다룰 수 있게 되었다.
또한, 톰캣이 별도의 소프트웨어에서,
내장형 도구(라이브러리)로 바뀌었기 때문에
내 필요에 따라서 톰캣을 뺐다가 꼈다가 할 수 있게 되었다.
💙 마치며
1.
※ 404오류에 대해서 알아놓자.
url매핑이 잘 안되어 있어도 404
url매핑이 잘 되어 있지만 url을 잘못 찾아도 404